심리학의 한 분야인 임상심리학은 사회학과 인문학 등 연관된 학문에서 연구된 이론을 부적응 문제 및 진단 치료에 적용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학문의 시작은 1896년 몸이 불편한 아동을 위해 펜실베니아에 개설한 심리 클리닉과 1909년 소외되는 청소년을 위해 마련한 시설을 시작으로 본다. 이후 1930년대 미국 전역에 정신분석학 사상이 뿌리내리고 또한 컬럼비아대학에 정식으로 임상병리학 관련 학과와 양성 코스가 생김으로써 발전의 계기가 되었다. 사회적 관심과 인지도가 생기고 관련 학과가 생기는 것도 발전의 계기가 되었지만 임상 심리학의 발전에 가장 큰 계기가 된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제 2차 세계대전이었다. 전쟁 당시 군인들이 다양한 정신적, 심리적 스트레스에 힘들어하는 것을 계기로 이들에 대한 치료 및 참전 군인을 선별하기 위한 진단검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임상 심리학이라는 학문이 본격적으로 성립되고 논의될 수 있었다.
인간의 심리적인 부분의 문제에 대한 진단이나 그에 대한 치료에 이용되며, 이때 진단을 할 때는 여러 가지의 임상테스트나 임상진단기술을 이용한다. 그 중에는 지능이나 성격을 진단하는 종류의 검사도 있어 정신과적인 영역에도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현재의 임상심리학은 성격, 지능, 개성 등 다양한 부분의 파악이 가능하여 원래는 군인이나 어린이에게 대부분 적용되던 것이 그 영역을 확장하여 청소년과 어른까지 거의 전 연령으로 확대되어 사회 전반적으로 적용되고 치료방법 또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거의 전 연령에 거쳐 인간 전반에 대한 파악이 가능해진 임상심리학의 앞으로의 과제는 지금까지 이뤄낸 연구를 통해 실제적인 정신증이나 신경증, 스트레스의 치료가 주 목적이다.
임상 심리학의 치료 요법
지시적 요법 : 치료사가 직접적으로 조언을 건네거나 지시를 내리는 방법이다. 치료하는 사람이 환자에게 알맞다고 여기는 방법대로 이끌며 치료하는 방법으로 치료자 중심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지시적 카운슬링이 이 치료법의 대표적 예라고 할 수 있다.
비지시적 요법 : 지시적 요법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치료자 중심이 아닌 환자 위주의 치료법이다. 치료사의 역할이 지시적 요법에 비해 줄어들고 환자가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파악하여 정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식이다.
집단 요법 : 집단을 이루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으로 치료와 더불어 집단 활동의 적응에도 도움을 준다.
행동 요법 : 치료법의 이름 그대로 학습에 따른 행동 교정을 통해 치료하는 방법이다. 행동 요법은 임상심리학보다는 행동 심리학에서 더 많이 적용되는 분야이기도 하다.
실존 분석 요법 : 실존 분석으로 불리며 일하는 능력이나 인생을 즐기는 능력, 그 외에도 고뇌하는 능력 등을 지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인 치료법이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자_장 피아제 (0) | 2022.07.20 |
---|---|
심리학_소비자심리학, 교육심리학 (0) | 2022.07.19 |
심리학의 주요 이론 (0) | 2022.07.11 |
심리학의 분야 (0) | 2022.07.08 |
심리학의 역사 (0) | 2022.07.07 |
댓글